[단일 요인을 활용한 비언어적 감정 표현 설계 연구 : 적정 기술 기반 소셜 로봇 디자인 접근법, 한국HCI학회, 한국HCI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25, 심민지, 이재룡, 황석영, 박효상, 박기철] Reviewed by 심민지, 이재룡 학부연구원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와 정서적 돌봄 수요 증가라는 사회적 배경 속에서 소셜 로봇의 효율적 설계 가능성을 탐구한다. 현재 소셜 로봇은 감정적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중요한 도구로 주목받고 있으나, 복잡한 설계와 높은 제작 비용으로 인해 대중화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연구진은 최소한의 모션만으로도 감정 전달이 가능한 설계 전략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쁨, 슬픔, 놀라움, 분노 등 네 가지 기본 감정을 중심으로 단일 요인(눈, 림라이트, 팔, 머리)이 감정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단순화된 설계를 통해 비용 절감을 실현하면서도, 사용자와의 감정적 상호작용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HIDE(hide)2025.09.07조회수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