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

통합 검색

[SCOPUS] [2025] Interaction Augmentation: Deepening User Experience to Build Placeness, Seongsu Choi, Seok Young Hwang, Jungmin Kim, and Kicheol Pak, Proceedings of IASDR 2025
  • 작성자 HIDE
  • 조회수 24
2025-09-09 21:13:45

Interaction Augmentation: Deepening User Experience to Build Placenes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product interaction extends beyond mere functional use to connect with spatial contexts, thereby influencing users’ memories and emotional attachment to particular places. Previous research has highligh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places—namely, placeness and place attachment—is closely related to human behavioral intentions. However, the specific pathways through which product interaction expands into place experiences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To address this, the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Interaction Augmentation” and designs an anthropomorphized interactive lighting product to embody this idea.

The research applied a Research through Design (RtD) approach based on design experiments. A nodding gesture was added to an entryway light, transforming a simple physical reaction into an emotional act of greeting. The lighting product was equipped with sensors to detect user approach, responding with both illumination and a nodding motion. Through this design, functional micro-interactions were expanded into emotional experiences.

An online survey experiment was conducted, in which participants compared videos of a conventional light without movement and an anthropomorphized light with interactive gestures. Evaluation criteria included product characteristics (Organic, Lively, Appealing, Intelligent, Comfortable) as well as place attach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memorable space, psychological comfort, spatial attachment, positive word-of-mouth, revisit intention, intention to invite others). Data from 54 respondents were analyzed, showing that the anthropomorphized interaction received significantly higher positive evaluations across most factors. The greates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Lively and Intelligent, while spatial assessments showed notable effects in memorable space and intentions to revisit or recommend the loc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urther revealed that place attachment serves as a critical mediating factor between product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Product characteristics strongly influenced place attachment (β = 0.701), which in turn exerted strong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β = 0.905) and product preference (β = 0.621). Among product traits, Appealing and Comfortable were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in fostering place attachment.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users felt greater attachment and comfort when the product’s movements were smoother and more refined. Participants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armony between the product’s form, color, and surrounding furniture, suggesting that contextual integration is essential. The installation location was likewise identified as a significant factor in shaping spatial experience. These insights indicate that interaction design should extend beyond technical implementation toward emotionally attuned design strategies that harmonize with spatial environm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augmenting product interactions can expand user experience into spatial memory and emotional meaning. It proposes a new design direction that extends product experience from the personal level to encompass placeness and behavioral intention. In particular, enhancing emotional design attributes such as Appealing and Comfortable emerged as key strategies to strengthen place attachment and encourage behavioral change. This research contributes a new framework linking products, spaces, and user experiences, while leaving open the possibility for future expansion across diverse product types and spatial contexts.
 


본 연구는 제품의 상호작용이 단순한 사용 경험을 넘어 공간적 맥락과 연결되며,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 대한 기억과 정서적 애착을 형성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들은 사람과 장소의 관계, 즉 ‘플레이스니스(placeness)’와 장소애착이 인간의 행동 의도와 밀접하게 관련됨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제품 상호작용이 어떻게 장소 경험으로 확장되는지에 대한 구체적 경로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랙션 증강(Interaction Augmentation)’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의인화된 상호작용 조명 제품을 설계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디자인 실험 기반의 Research through Design(RtD) 접근을 적용하였다. 현관 진입 시 점등되는 조명에 고개 끄덕임(nodding) 제스처를 추가하여 단순한 물리적 반응을 정서적 환영 행위로 증강시켰다. 조명 제품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불빛과 함께 고개를 숙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를 통해 기능적 마이크로 인터랙션을 감성적 경험으로 확장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온라인 설문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은 움직임이 없는 일반 조명과 의인화된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조명의 영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 항목은 제품 특성(Organic, Lively, Appealing, Intelligent, Comfortable)과 장소애착 및 행동의도(기억성, 심리적 편안함, 공간애착, 긍정적 구전, 재방문 의도, 타인 초대 의도)로 구성되었다. 총 54명의 응답이 수집되었으며, 분석 결과 의인화된 상호작용이 없는 경우보다 대부분의 항목에서 긍정적 평가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특히 ‘생동감(Lively)’과 ‘지능적(Intelligent)’ 요인에서 큰 차이가 확인되었고, 공간 관련 평가에서는 ‘기억에 남는 공간’과 ‘재방문·추천 의도’ 항목에서 두드러진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장소애착이 제품 상호작용과 행동의도 사이에서 핵심 매개 변수로 작동함이 밝혀졌다. 제품 특성은 장소애착에 강한 영향을 주었고(β=0.701), 장소애착은 다시 행동의도(β=0.905)와 제품 선호도(β=0.621)에 강하게 작용하였다. 특히 ‘매력적(Appealing)’과 ‘편안함(Comfortable)’ 요소가 장소애착 형성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성적 분석에서는 사용자들이 제품의 동작이 보다 부드럽고 정교해질수록 애착과 편안함이 강화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제품의 형태·색상 등이 주변 가구와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적 배려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설치 위치 또한 공간 경험의 질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상호작용 설계가 단순히 기능 구현을 넘어 공간과 조화되는 감성적 디자인 전략으로 확장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제품 상호작용을 증강시킴으로써 사용자 경험이 공간적 기억과 정서적 의미 형성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이는 제품 경험을 개인적 차원을 넘어 장소성과 행동의도까지 확장시키는 새로운 설계 방향을 제시한다. 특히, 감성적 디자인 요소인 ‘매력적’과 ‘편안함’을 강화하는 것이 장소애착과 행동 변화를 촉진하는 핵심 전략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제품과 공간, 사용자 경험을 연결하는 디자인 연구의 새로운 틀을 제시하며, 향후 다양한 제품군과 공간 맥락으로 확장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댓글 0

답글 보기
  • 답글
답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