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HIDE Lab 8기 학부연구원 장윤아입니다.
모베드 산학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연구실의 사용자 중심 문제 해결 방식을 처음 접한 뒤, “왜 이 디자인이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명확히 답할 수 있는 디자이너가 되고 싶어 연구실 학부연구원에 지원서를 냈고, 그 선택은 지난 5개월간 제 디자인 인생의 방향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정부과제인 에브리봇 툴킷 제작, 글로우원 산업용 조명 프로젝트, 삼성전자 산학 프로젝트 등 실무 기반 과제를 빠듯한 일정 속에서 연달아 경험했고, 그 과정에서 데스크 리서치와 현장 관찰로부터 출발해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시나리오를 작성한 뒤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검증하는 전 과정을 몸소 체득했습니다.
특히 에브리봇 툴킷 과제에서는 로봇 제작의 필수 요소를 사용자 경험 관점으로 재해석하여 모듈형 툴킷으로 구체화하는 방법을 익혔고, 글로우원 프로젝트에서는 GPT를 활용해 요구사항을 AI 이미지 생성 과정에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을 직접 설계하며 디자이너가 기술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실감했습니다. 삼성전자 산학 프로젝트에서는 ‘와우 포인트’를 지닌 제품 콘셉트를 다양한 각도에서 발산한 뒤, 로우 프로토타입으로 빠르게 현실화하여 반복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아이디어를 실행력 있게 발전시키는 노하우를 얻었습니다.
연구실 생활 동안 저는 ‘모든 디자인에는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원칙을 철저히 학습했습니다. 형태와 곡률, 구조, 배치, 소재 하나까지 왜 그렇게 결정되었는지 스스로 근거를 제시해야 했고, 이 과정에서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이 자연스럽게 사고 깊이를 확장시켰습니다. 동료 연구원들과의 정기 피드백 세션은 시행착오를 곧바로 학습 자산으로 전환해 주었고, 특히 석·박사 선배님들의 따뜻하면서도 날카로운 조언 덕분에 구체적인 개선 방향을 즉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디자인·기계·재료·UX 등 서로 다른 배경을 지닌 팀원들과 관점을 교차시키며 협업했기에, 제품·서비스 기획 단계에서부터 디자인 결과물을 More‑than‑Human 관점으로 다층적으로 검토하는 습관도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습니다. 다양한 논문을 읽어 설계 근거를 보강하는 과정에서는 ‘실증적 증거와 이론적 통찰이 만날 때, 디자인의 설득력이 배가된다’는 사실을 체감했습니다.
연구실에서의 경험은 곧바로 시디즈 제품디자인팀 인턴십으로 이어졌습니다. 두 달간 CMF, 봉제, 스타일링 등 생산 단계의 전 과정을 경험하면서도 빠르게 업무에 적응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HIDE Lab.에서 체득 한 실무형 문제 해결 태도가 있었습니다. 특히 연구실에서 몸에 밴 ‘Reasoned Design’, 즉 논리적 근거에 기반한 디자인 철학은 시디즈에서도 기능, 품질, 감성의 3요소를 균형 있게 제안·설득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제조사의 시각에서 사용자 경험이 생산성과 브랜드 전략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직접 목격한 것은, 디자인이 기업 가치 창출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실감하게 해 준 소중한 계기였습니다.
지금 돌이켜보면 HIDE Lab.에서 보낸 짧지만 밀도 높은 시간은 저에게 세 가지 핵심 역량을 남겼습니다. 첫째, 의사 결정을 신속히 내리되 근거를 명확히 기록하는 실무형 사고방식, 둘째,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언어를 포착하고 이를 디자인 언어로 번역하는 사용자 중심 문제 해결 태도, 셋째, GPT와 이미지 생성 모델을 콘셉트 발산·수렴·프레젠테이션 단계에 전략적으로 적용하는 AI·기술 활용 역량입니다. 이 세 축은 앞으로 로봇·스마트 퍼니처 분야에서 기술과 경험이 만나는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려는 제 진로에 든든한 토대가 되어 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치열한 프로젝트 속에서도 서로를 지지하며 함께 성장한 연구실 동료들과 아낌없이 조언을 건네주신 석·박사 연구원님들, 그리고 항상 도전할 기회를 열어 주신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HIDE Lab.에서 배운 사용자 경험 기반 사고와 논리적 디자인 방법론은 제 디자인 인생의 나침반이 되었고, 앞으로도 더 깊이 있는 디자인을 통해 사용자에게 실질적 가치를 전하는 디자이너로 성장해 나가겠습니다. 언젠가 다시 함께 협업할 수 있는 날을 고대하며, 이 글을 읽는 분들께도 HIDE Lab.에서 경험한 성장의 열정이 전해지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