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Our Lab.
Awards
Location
Our People
Professor
Researchers
UG Researchers
Research
Papers
Conf. Papers
Conf. Talks
Projects
Co-Projects
Patents
Tech Transfer
Lab Life
Lab News
Behind the Lab
Beyond the Lab
Notices
Updates
Articles
Library
Schedules
Introduction
Our Lab.
Awards
Location
Our People
Professor
Researchers
UG Researchers
Research
Papers
Conf. Papers
Conf. Talks
Projects
Co-Projects
Patents
Tech Transfer
Lab Life
Lab News
Behind the Lab
Beyond the Lab
Notices
Updates
Articles
Library
Schedules
통합 검색
통합 검색
Beyond the Lab
최신순
등록순
조회순
댓글순
삼성전자 MX사업부 제품디자인 직무 인턴 선발, HIDE Lab. 8기 최민준 학부연구원 후기(사진 업데이트 예정)
안녕하세요. HIDE Lab. 8기 학부연구원 최민준입니다.처음 HIDE Lab.에 지원서를 냈던 가장 큰 이유는 학교에서 배우는 디자인과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디자인 사이에 어떤 흐름과 간극이 존재하는지를 직접 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산업체와 협력해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연구실이라면 아이디어가 기업의 요구와 맞닿아 어떻게 현실화되는지를 가까이에서 관찰하고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컸습니다. 그 호기심은 한 학기 내내 제 열정을 끌어올렸고, 연구실에서 진행된 다양한 과정을 통해 충분히 해소되었습니다.학기 동안 저는 UX 리서치, CMF(Color, Material, Finish), 메커니즘 설계 등 서로 다른 분야의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으로 발산하고, 인터뷰와 관찰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분석하며, 스케치와 시나리오 보드로 콘셉트를 시각화하고, 3D 모델링과 간이 목업으로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테스트하는 전 과정을 경험했습니다. 이 과정에
hide
2025.07.02
조회수35
마크로밀 엠브레인리서치 인턴 후기, 장진영 외부참여연구원
안녕하세요.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전공 3학년 정진영입니다. 지난 한 달간(2025년 3월 25일 ~ 4월 24일) 외부참여연구원으로서 마크로밀 엠브레인 리서치에서 경험한 인턴 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앞으로 인턴십을 준비하거나 리서치 분야에 관심이 있는 후배 여러분에게 제 경험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평소 학교 수업이나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사용자 경험'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를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 디자인 리서치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우연히 마크로밀 엠브레인에서 실무 리서치를 단기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인턴십 기회가 있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고,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조사 방법과 실제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경험하고 싶어 망설임 없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인턴 기간 동안 저는 주로 공공 부문 Vertical 사업에 참여하여 실제 리서치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경험하였습니다. 특히 데스크 리서치를 시작으로 심층 인터뷰(
hide
2025.06.26
조회수26
연구의 첫걸음, 그리고 새로운 진로의 발견, HIDE Lab. 5기 김영기 학부연구원
HIDE Lab.에서 시작된 여정, 그리고 AI로의 전환 안녕하세요. 저는 2025년도에 홍익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와 디자인엔지니어링 융합전공을 졸업한 김영기입니다. 2023년 2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정확히 1년 동안 HIDE Lab.에서 학부연구생으로 활동했고, 사실상 3학년이 되어 처음 논문과 프로젝트에 참여한 순간부터 졸업할 때까지 줄곧 HIDE Lab. 구성원들과 함께 연구하며 대학 시절을 보냈습니다. HIDE Lab.에 들어오기 전에는 창업동아리에서 활동하며 회장직을 맡아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시제품을 제작해 외부 발표 무대에도 나갔지만, 어느 순간부터 더 이상 배우고 있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졸업 전 새로운 자극을 얻고 싶어 HIDE Lab. 문을 두드렸고, 처음 접한 논문과 특허 문서는 물론 연구실 생활 자체가 낯설어 눈치 보며 하나씩 물어보고 배우는 데서 출발했습니다. 그렇게 1년 동안 여러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총 다섯 편의 학회 논문을 공동
hide
2025.06.10
조회수81
마크로밀 엠브레인리서치 인턴 후기, HIDE Lab. 7기 나성은 학부연구원
엠브레인 리서치 인턴십 후기안녕하세요, 저는 2024년 9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약 6개월간 HIDE Lab. 7기 학부연구원으로 활동했던 나성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HIDE Lab. 활동을 마치고 엠브레인 리서치에서 경험한 한 달간의 UX디자인 관련 인턴십 이야기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저의 인턴 경험담이 UX리서치 분야에 관심 있는 동료 및 후배 여러분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인턴십을 결심하게 된 계기연구실 생활을 마무리하던 무렵, 평소 UX리서치에 관심을 갖고 있던 찰나 단톡방에서 엠브레인 리서치 인턴 공고를 알게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늘 연구실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시는 분이라, 이번 공고 또한 실무 경험을 쌓을 좋은 기회라 생각해 주저 없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이전에 연구실에서 진행되었던 최승환 이사님의 UX/CX 특강을 듣고 UX 분야의 실무에 대한 호기심이 더욱 커졌고, 자연스럽게 인턴십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졌습니다.인턴십에서의 업무
hide
2025.06.09
조회수60
33기 삼성디자인멤버십 선발, HIDE Lab. 7기 학부연구원 후기, 정유진 연구원
24년 9월부터 25년 1월까지 HIDE Lab. 7기 학부연구생으로 근무한 정유진라고 합니다. 5개월 간의 HIDE Lab. 생활과 삼성디자인멤버십 지원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시각디자이너이지만, UX라는 공통점 하나로 지원한 학부 연구생HIDE Lab을 처음 접했을 때, 주로 피지컬한 제품 UX를 다룬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저는 UX/UI를 전공하며 특히 GUI 및 비주얼 디자인 역량을 갖추고 있지만, 피지컬한 UX는 아직 익숙하지 않은 영역입니다. 그래서 이 분야를 연구하며 제가 가진 역량과 결합해 새로운 접점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는 설렘으로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제품과 엔지니어 분들은 시각쪽 분야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포지션의 분들이라 그분들과의 협업과 새로운 경험 시나리오를 쓸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습니다.포지션에 대한 고민2024년 9월, 학부연구생으로 지원하여 약 3주간의 트라이얼을 거쳤습니다. 최종 선발 과정에서 저는 큰 어려움을 겪었는데
hide
2025.02.07
조회수303
1
2
글쓰기
삼성전자 MX사업부 제품디자인 직무 인턴 선발, HIDE Lab. 8기 최민준 학부연구원 후기(사진 업데이트 예정)
안녕하세요. HIDE Lab. 8기 학부연구원 최민준입니다.처음 HIDE Lab.에 지원서를 냈던 가장 큰 이유는 학교에서 배우는 디자인과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디자인 사이에 어떤 흐름과 간극이 존재하는지를 직접 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산업체와 협력해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연구실이라면 아이디어가 기업의 요구와 맞닿아 어떻게 현실화되는지를 가까이에서 관찰하고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컸습니다. 그 호기심은 한 학기 내내 제 열정을 끌어올렸고, 연구실에서 진행된 다양한 과정을 통해 충분히 해소되었습니다.학기 동안 저는 UX 리서치, CMF(Color, Material, Finish), 메커니즘 설계 등 서로 다른 분야의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으로 발산하고, 인터뷰와 관찰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분석하며, 스케치와 시나리오 보드로 콘셉트를 시각화하고, 3D 모델링과 간이 목업으로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테스트하는 전 과정을 경험했습니다. 이 과정에
HIDE(hide)
2025.07.02
조회수 35
마크로밀 엠브레인리서치 인턴 후기, 장진영 외부참여연구원
안녕하세요.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전공 3학년 정진영입니다. 지난 한 달간(2025년 3월 25일 ~ 4월 24일) 외부참여연구원으로서 마크로밀 엠브레인 리서치에서 경험한 인턴 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앞으로 인턴십을 준비하거나 리서치 분야에 관심이 있는 후배 여러분에게 제 경험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평소 학교 수업이나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사용자 경험'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를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 디자인 리서치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우연히 마크로밀 엠브레인에서 실무 리서치를 단기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인턴십 기회가 있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고,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조사 방법과 실제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경험하고 싶어 망설임 없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인턴 기간 동안 저는 주로 공공 부문 Vertical 사업에 참여하여 실제 리서치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경험하였습니다. 특히 데스크 리서치를 시작으로 심층 인터뷰(
HIDE(hide)
2025.06.26
조회수 26
연구의 첫걸음, 그리고 새로운 진로의 발견, HIDE Lab. 5기 김영기 학부연구원
HIDE Lab.에서 시작된 여정, 그리고 AI로의 전환 안녕하세요. 저는 2025년도에 홍익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와 디자인엔지니어링 융합전공을 졸업한 김영기입니다. 2023년 2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정확히 1년 동안 HIDE Lab.에서 학부연구생으로 활동했고, 사실상 3학년이 되어 처음 논문과 프로젝트에 참여한 순간부터 졸업할 때까지 줄곧 HIDE Lab. 구성원들과 함께 연구하며 대학 시절을 보냈습니다. HIDE Lab.에 들어오기 전에는 창업동아리에서 활동하며 회장직을 맡아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시제품을 제작해 외부 발표 무대에도 나갔지만, 어느 순간부터 더 이상 배우고 있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졸업 전 새로운 자극을 얻고 싶어 HIDE Lab. 문을 두드렸고, 처음 접한 논문과 특허 문서는 물론 연구실 생활 자체가 낯설어 눈치 보며 하나씩 물어보고 배우는 데서 출발했습니다. 그렇게 1년 동안 여러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총 다섯 편의 학회 논문을 공동
HIDE(hide)
2025.06.10
조회수 81
마크로밀 엠브레인리서치 인턴 후기, HIDE Lab. 7기 나성은 학부연구원
엠브레인 리서치 인턴십 후기안녕하세요, 저는 2024년 9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약 6개월간 HIDE Lab. 7기 학부연구원으로 활동했던 나성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HIDE Lab. 활동을 마치고 엠브레인 리서치에서 경험한 한 달간의 UX디자인 관련 인턴십 이야기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저의 인턴 경험담이 UX리서치 분야에 관심 있는 동료 및 후배 여러분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인턴십을 결심하게 된 계기연구실 생활을 마무리하던 무렵, 평소 UX리서치에 관심을 갖고 있던 찰나 단톡방에서 엠브레인 리서치 인턴 공고를 알게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늘 연구실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시는 분이라, 이번 공고 또한 실무 경험을 쌓을 좋은 기회라 생각해 주저 없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이전에 연구실에서 진행되었던 최승환 이사님의 UX/CX 특강을 듣고 UX 분야의 실무에 대한 호기심이 더욱 커졌고, 자연스럽게 인턴십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졌습니다.인턴십에서의 업무
HIDE(hide)
2025.06.09
조회수 60
33기 삼성디자인멤버십 선발, HIDE Lab. 7기 학부연구원 후기, 정유진 연구원
24년 9월부터 25년 1월까지 HIDE Lab. 7기 학부연구생으로 근무한 정유진라고 합니다. 5개월 간의 HIDE Lab. 생활과 삼성디자인멤버십 지원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시각디자이너이지만, UX라는 공통점 하나로 지원한 학부 연구생HIDE Lab을 처음 접했을 때, 주로 피지컬한 제품 UX를 다룬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저는 UX/UI를 전공하며 특히 GUI 및 비주얼 디자인 역량을 갖추고 있지만, 피지컬한 UX는 아직 익숙하지 않은 영역입니다. 그래서 이 분야를 연구하며 제가 가진 역량과 결합해 새로운 접점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는 설렘으로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제품과 엔지니어 분들은 시각쪽 분야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포지션의 분들이라 그분들과의 협업과 새로운 경험 시나리오를 쓸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습니다.포지션에 대한 고민2024년 9월, 학부연구생으로 지원하여 약 3주간의 트라이얼을 거쳤습니다. 최종 선발 과정에서 저는 큰 어려움을 겪었는데
HIDE(hide)
2025.02.07
조회수 303
더보기
글쓰기